안녕하세요. 손수레농장입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농장 일부를 도시텃밭으로 분양하려고 합니다.

내 손으로 밭도 만들고, 직접 심고 기르고 수확해보고 싶다면 신청하세요!

리얼 삼시세끼!!!

(단, 사먹는게 쌉니다. 그래도 하는 이유라면 그 수확의 즐거움은 텃밭 가꾸는 매력의 일부일뿐입니다.)


1. 신청 대상

- 손수레 회원 및 대전시민 누구나 (단, 손수레 활동참여 우선 순)

2. 모집기간

- 2020년 2월 1일 ~ 2월 20일(선착순 마감)

3. 분양 장소

- 손수레 농장(유성구 덕진동 46-2번지)

4. 분양비

- 1평당 1만원

- 기본 3평(추가 시 문의)

5. 신청방법

- 홈페이지(www.sonsure.co.kr) -> 메뉴 중 교육 -> 도시텃밭 분양 접수하기

6. 운영방법

- 분양기간(3월 16일~11월 30일)을 준수합니다.

- 화학농약, 화학비료, 비닐멀칭을 절대 사용하지 말아야합니다.

- 텃밭을 사용하지 않고 1달이내 방치시 자동 사용중지 됩니다.

- 도시텃밭 분양자 간의 교류모임(시농제, 송년회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합니다.

- 공동 농기구는 준비되어 있습니다.

- 기타 손수레 도시텃밭 운영규칙은 첨부파일을 꼭! 확인하세요!

- 최종 참여자 선정 후 도시텃밭 가입신청서 작성과 회비 납부로 최종 확정

7. 문의

- 070.8899.3311 / 카톡채널 : @손수레

 


손수레농장, 도시텃밭 분양


1. 신청 대상

- 손수레 회원 및 대전시민 누구나

(단, 손수레 활동참여 우선 순)


2. 모집기간 

- 2019년 2월 1일 ~ 2월 10일


3. 분양 장소

- 손수레 농장(유성구 덕진동 46-2번지)


4. 분양비

- 1평당 1만원

- 기본 3평(추가 시 문의)


5. 신청방법

- 홈페이지(www.sonsure.co.kr) -> 메뉴 중 교육 -> 도시텃밭 분양 접수하기

- 또는 https://www.sonsure.co.kr/courses/13


6. 운영방법

- 분양기간(3월 16일~12월 21일)을 준수합니다.

- 화학농약, 화학비료, 비닐멀칭을 절대 사용하지 말아야합니다.

- 텃밭을 사용하지 않고 1달이내 방치시 자동 사용중지 됩니다.

- 도시텃밭 분양자 간의 교류모임(시농제, 송년회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합니다.

- 공동 농기구는 준비되어 있습니다.


7. 문의

- 070.8899.3311 / 카톡플친 : @손수레

손수레 농장에 겨울 모습 중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모습이 겨울잠을 자는 와송과 잘 큰 와송을 말리는 모습입니다.
와송은 씨앗부터 3년을 사는데 3년째 가을이 되면 꽃대가 오르고 꽃이 핍니다.
그 전까지, 즉 2년까지는 겨울이 되기 전까지 잘 자라다가 2년째 가을이 되면 가운데는 오므라들며 딱딱해지고 큰 잎들은 녹아버립니다.
아래는 현재 겨울철 와송의 2년생 모습입니다.


파란 채반에 말려놓은 것은 3년된 와송으로 가을에 꽃대가 20cm 이상 올라오면 꽃이 피고 씨앗이 맺힙니다.
그러면 스스로 마르는데 그 전에 잘라 태양에 또는 건조기에 말려 마지막 사진처럼 놓습니다.
한번 말리면 보통 10분의 1로 줄어듭니다.
보통 말린 와송은 차로 마시거나 음식에 넣거나 제품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가공재료가 됩니다.
항암제로 쓰이는 식물인 만큼 염증 제거에 좋으니 겨우살이 동안 차로 마십니다.

https://ted.com/talks/devita_davison_how_urban_agriculture_is_transforming_detroit?utm_source=tedcomshare&utm_medium=email&utm_campaign=tedspread--b



be the change you want to see in the detroit

디트로이트 도시의 변화, 도시농업이 도시를 변화 시킨 이야기


위 영상을 보면 중점 내용은 그렇다.


'스스로 변화' 그리고 '시민과 함께 하기 때문에'


이런 도시, 그리고 농장을 꿈꿔본다.

'4부작사부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스스로 학교  (0) 2018.02.04
작물 | 감자  (0) 2018.01.21
토양 | 토양 생성  (0) 2018.01.19
작물 | 가지  (0) 2018.01.17
작물 | 비트  (0) 2018.01.14

봄이 오면 도시농부들이 가장 먼저 준비하는 감자,

감자에 대해 알아본다.



■ 파종량

- 소요량 : 150kg/10a

- 씨감자 자르기 : 30~40g/1쪽


 적정시비

- 기비(N-P-K) : 10-10-12

 + 퇴비 1,000kg/10a

 * 가을재배시 봄재배보다 질소거름 50% 중시


 심는거리

- 일반재배 : 70×25cm(5,660주/10a)

- 조기재배 : 60×25cm(6,600주/10a)



 생육적온

- 덩이줄기 비대적온 : 15~18℃

- 덩이줄기 비대정지 : 27~30℃


 재배환경

- 적배적온 : 14~23℃

- 덩이줄기 비대 적온 : 주간 23~24℃, 야간 10~14℃

- 전 생육기간동안 필요한 강수량 : 300~450mm

- 적정 토양산도 : pH 5.0~6.0






 수확·저장

- 잎, 줄기가 노랗게 변할때 수확

- 저장 예비저장(1주일) : 온도(12~18℃), 습도(80~85%)

- 본저장 : 온도(3~4℃), 습도(80~85%)

  * 가공용 : 7~10℃















'4부작사부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 the change you want to see in the world | Gandhi  (0) 2018.02.10
청년 스스로 학교  (0) 2018.02.04
토양 | 토양 생성  (0) 2018.01.19
작물 | 가지  (0) 2018.01.17
작물 | 비트  (0) 2018.01.14


이 책을 접한 건 도시농업 교육 할 때나 생태텃밭 강사들과 교육자료를 만들때 보충 자료를 사려고 샀었다.

내 책은 겉 색깔이 하얀색이었던 것 같은데 다음 책 검색해보니 색이 조금 다르다.(중요하지 않음 :))

아무튼 본론으로 들어가면 도시농부를 도전하기 전에 입문할 때 보면 좋은 책이다.

실전을 바탕으로 하나하나 적어주셨다.

작은 텃밭부터 지금은 더 크게 더 다양하게 하셔서 속편이 나왔다.

가이드북을 맛보려면 E북이나 유다경쌤 블로그가보면 일부 나와있다.

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 행사때 한번 모셨었는데 라디오인가에서도 들어본 적이 있다.


물론 우리 농장과 또 다른 방식이지만 참고하기 좋은 책이니 처음 도전하시는 분을 읽어보면 좋다.


목차를 참고하시라고 적어본다.

1장 나도 도시농부가 되어볼까

주말농장에서 농사짓기│주말농장 구하기 (입지│토질│시설│햇빛│이랑)│텃밭에서 농사짓기
아파트 베란다에서 농사짓기│종묘상 (모종│퇴비와 비료│농사 용품)│복장과 준비물

2장 흙 이야기

식물이 살기에 좋은 흙│흙의 구조 (고상·액상·기상│토성│흩알구조와 떼알구조)│유기물이란 무엇인가 (유기물은 무슨 일을 하는가│산성토양인가 아닌가│유효토심)│내 밭의 흙을 제대로 알자 (토양검정 의뢰하기│토양검정 결과 읽기)│퇴비란 무엇인가│퇴비, 얼마나 주어야 하나

3장 밭 만들기

《갈아엎기》

배수로 확보하기│퇴비 넣고 밭 갈아엎기│이랑 만들기 (물 흐름에 따르는 이랑의 방향│이랑을 만들 때 사용하는 농기구│고랑 파기)│두둑 만들기 (두둑을 만드는 방법│두둑의 폭과 높이│다양한 이랑 형태│물을 수월하게 주는 요령)

《멀칭하기》
비닐멀칭하는 이유│다양한 멀칭 (짚이나 풀을 이용한 멀칭│신문지를 이용한 멀칭│비닐멀칭하는 법│잡초 방지 부직포)

4장 농사 계획 짜기

《작물배치도 그리기》

도시농부는 다품종 소량 생산│작물배치도 그리기│내 텃밭의 콘셉트 잡기│재배할 작물 선택하기 (작물 선택 시 고려할 것들│작물 선택 기준)│작물의 특성에 따른 분류 (키에 따른 분류│재배 시기별 분류│쓰임에 따른 분류)│작물의 양과 면적 예측하기 (쌈채소│반찬류│김치류│1m 지주│2m 지주│식량 채소│열매류│허브류│나물류)│방위에 맞게 작물 배치하기 (내 밭 모양 그리기│내 밭의 방위 그리기│이랑의 방향│계절에 따른 그림자의 길이 변화)

《실전! 작물배치도》
이랑 두 개 주말농장 작물배치도│이랑 여덟 개 텃밭 작물배치도│100평 텃밭의 작물배치도│30평 텃밭의 작물배치도│정원 텃밭 콘셉트의 작물배치도 (정원 텃밭 콘셉트로 밭 만들기│작물배치도│공간이 부족한 호박류의 작물 배치)

5장 씨앗 이야기

씨앗의 구조 (씨앗의 발아│씨앗의 휴면과 보관)│씨앗의 구분 (F1종자│고정종자│영양종자)│채종│씨앗이냐 모종이냐│씨앗 봉투 읽기 (생산 연도와 포장 연도│돌산갓 씨앗 봉투│근대 씨앗 봉투│봄무 씨앗 봉투│김장무 씨앗 봉투│엇갈이배추 씨앗 봉투│브로콜리 씨앗 봉투)

6장 파종과 육묘

《파종과 육묘하기》

직파 (줄뿌림│점뿌림│흩어뿌림)│육묘 (육묘하는 이유│육묘할 때 주의할 것들│육묘에 필요한 도구)│수건파종 (수건파종의 장점│수건파종 방법)│침종 (침종 방법│경실종자의 침종)│건강한 모를 기르는 방법 (햇빛│물주기│온도│통풍│육묘 용기│육묘판으로 옮겨심기│넓은 트레이로 옮겨심기)│다른 재료를 이용한 육묘 (펠렛에 파종하기│펠렛 통째로 옮겨심기│지피포트에 파종하기)│노지 육묘하기 (땅콩의 노지 육묘)│영양종자 싹 틔우기 (씨감자 최아│울금 최아│토란 최아)

《모종 정식하기》
모종 구입 (좋은 모종 선택하는 법)│모종 심기 (모종 심는 시기│모종 심기 좋은 날)│모종을 심는 방법 (모종을 심고 나서 물주기│구덩이에 물준 후 모종 심기│뿌리가 미발달된 어린모의 모종 심기│모종 심을 때 구덩이의 깊이)│모종 인큐베이터 (모종 인큐베이터의 다양한 방식│모종 인큐베이터를 씌운 레몬버베나│재식거리)

《지주 세우기》
지주가 필요한 작물 (창의적이고 재밌는 다양한 지주들│지주 세우기 좋은 날은?)│1m 지주 세우기 (고추 지주)│2m 지주 세우기 (일자 지주│합장식 지주│합장식 지주 세우는 요령│덩굴 작물의 지주 세우기)

7장 작물 돌보기

《솎고 김매고 북주고 순지르고…》

뭘 해야 잘 자랄까│꼭 알아야 할 식물의 구조 (광합성│잎│뿌리와 줄기│햇빛·통풍·배수)│솎아주기 (무 솎아주기)│김매기 │북주기│순지르기 (토마토의 곁순 제거│박과 작물의 덩굴유인│콩 순지르기│허브류의 순따기)│삽목하기 (모래 삽목│밀폐 삽목)

《비료와 농약 바로 알기》
비료 바로 알기 (퇴비 & 화학비료│비료를 주는 방법)│생리장해 (질소과잉│질소결핍│칼슘결핍│붕소결핍)│농약 바로 알기 (농약의 종류│농약 사용법)│유기농산물이란

8장 도시농부를 괴롭히는 것들

《내 밭의 벌레들》

도시농부를 괴롭히는 해충 (벼룩잎벌레│진딧물│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달팽이와 민달팽이│배추흰나비 애벌레│굴파리 애벌레│배추좀나방 애벌레│섬서구메뚜기│온실가루이│개미│응애│노린재│굼벵이│호박과실파리)

《내 밭의 잡초들》
풀로 인해 벌어지는 일들 (쌈채소 이랑의 잡초│야콘 이랑의 잡초│마 이랑의 잡초│풀에 항복하고야 말다)│고랑 멀칭 (부직포로 고랑에 멀칭하는 법)

《태풍과 장마》
장마에 오는 장해들│배수로 확보와 두둑의 유실 방지

9장 하반기 농사
장마 이후│수확과 갈무리 (수확│갈무리│채종)│김장 농사│그 밖에 심는 작물들 (늦게까지 수확하는 방법)│겨울 농사 (서리와 최저기온)│밭 뒷정리

10장 텃밭 DIY

《상자텃밭 만들기》

상자텃밭이란│상자텃밭의 장점│상자텃밭 만드는 방법│상자텃밭의 여러 형태

《하우스 만들기》
터널하우스 (터널하우스를 만드는 재료│기본적인 터널하우스 만들기│이중터널 만들기)│한랭사 하우스│막덮기부직포 하우스│차광망 하우스

《천연비료 만들기》
직접 만들어 쓰는 천연 영양제 (달걀 껍데기로 천연 칼슘제 만들기│동물의 뼈로 천연 인산칼슘제 만들기│볏짚으로 천연칼리 만들기│현미식초 응용하기│목초액 응용하기│각종 효소 만들기│천일염이나 바닷물 응용하기│키토산 응용하기│아미노산 어액비 응용하기)
직접 만들어 쓰는 토양 개량제 (EM│토착미생물 배양액│스테비아 농축액)

《천연농약 만들기》
직접 만들어 쓰는 천연농약 (난황유│물엿 희석액│니코틴)│독초로 살충제·기피제 만들기 (은행잎│제충국│자리공│애기똥풀│때죽나무│주목│마늘│청양고추│허브│녹차│유화제)

*부록
01 작물별 재배 시기│02 밭작물의 분류│03 생리장해│04 비료의 종류│05 농사 용어

*텃밭노트
올빼미의 토양 체험 기록│기상청을 가까이│2012 올빼미의 육묘 기록

*텃밭이야기
물을 찾아서│늦가을 시월에 있었던 일




텃밭정원 가이드북은 오도 선생님이 홍성 풀무학교 친구들과 연구하며 만든 책이라고 한다.

우리는 손수레 생태텃밭강사들과 공부 교재로도 사용했다.

오도 선생님께 강의요청을 두번 정도 요청도 했고, 견학 갔을 때도 직접 안내도 해주셨다.

언제나 친절하고 따뜻한 분이다.

그물코 출판사 또한 지역 출판사로 이 책뿐만 아니라 필독서들이 많다.

오도 선생님 다른 책도 그물코가 출판했다.


이 책은 텃밭정원을 만드는 방법을 직접 경험을 통해 차례대로 나눠져있고

섞어짓기, 돌려짓기를 기본으로 작물별로 키우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나눠져있다.

단순 이론 책이 아닌 실전 가이드북으로 보면 좋다.

텃밭을 가꾸는 사람이라면 꼭 한번 읽어보시고 가까이 하시길.


가지라고는 우리 먹을 것이나 꾸러미에 조금 나갈 것을 키워봤지 대량으로 키워본 적은 없다.(뜬금 양심고백)

청주에 거북이공동체 총무님 밭에 가지 1500평 키워서 일손 도우러 가본 적이 있다.

이번에 로컬푸드 생협에 가지를 출하하기로 해 도전해보려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가지

 

 

 

 

 

 



 

 

 

 

 

 

 

 

 

 

 






 

● 씨뿌리기, ★ 아주심기, □ 수확 (중부지역 기준)


■ 정식준비

❍토양소독 : 태양열·열수 등 물리적소독, 다조메입제 등 화학적 소독, 기타

❍이랑만들기 : 높이 30cm 이상

❍온실피복 : 전년도 사용 피복은 광투과량이 떨어지므로 매년 교체


■ 육묘

❍파종 : 주간 28~30℃, 야간 18~20℃ 접수 : 72공 이하 플러그 트레이

❍대목 : 접목방법, 대목종류에 따라 파종기 조절

(32공 플러그 트레이)


❍상토 : 시판상토 또는 조제상토

(토양 유래 병해충 방지 대책 필요)

❍접목 : 할접, 합접, 핀접 등

❍비료공급 : 질소 또는 양액으로 관주

병해충 방제 철저 : 온실가루이, 담배가루이, 총채벌레 등


■ 정식

❍재식밀도 : 180~200×60~70cm(2.3~3.0주/3.3㎡)

❍유인 : Y자형 4주지 기본

(U자형 4주지, 2줄정식 2주지, Y자형 3주지 등 변형 가능) 첫번째 꽃 아래의 건실한 측지를 2번째 



■ 멀칭 : 고온기는 멀칭을 피하고 9월 중순 이후 지온이 낮은 시기

- 활착 후 뿌리를 깊이 뻗히게 하기 위해 10~15일정도 단수



■ 착과 및 수확

❍세력에 따라 첫번째 꽃 착과 유무 결정 (세력이 약할 때는 2번째 꽃부터 착과)

❍주지에 개화된 꽃과 측지(주지 꽃 아래 가지)에 개화된 꽃 착과

❍착과제 처리 : 토마토톤액제 2~3일 간격으로 꽃에 직접 분무 저온기(11~2월) : 50배액

❍고온기(정식~10월, 4월 중순~수확 종료) : 120배액

❍중간기(10월, 3월~4월 중순) : 80배액

* 지베렐린 첨가(곡과, 세력저하 원인) 및 2회 처리(공동과 원인) 불가

❍고온기 개화 후 20~23일, 저온기 25~29일의 과일 적정 크기 시수확 (큰 과일 수확은 세력 약화)


■ 양수분관리

❍양분관리 기비(kg/10a) : 질소 8.3, 인산 8.7, 칼리 4.1, 붕사 1.5, 완숙퇴비 1,000

❍추비 : 첫 수확 후 성분량으로 질소-칼리=2-2/kg/10a를 7일 간격으로 관비

* 기비를 하지 않고 관비재배를 할 때는 질소, 칼리 외 인산, 칼슘, 마그네슘도 같이 시용


❍수분관리 수분 장력계로 -15~-20kPa 수준으로 유지되게 토양수분 관리

* 건조는 비광택과, 과습은 습해 우려 및 뿌리 발육저하에 의한 수량 저하



■ 식물체 세력진단

❍단화주화 : 암술머리가 수술선단보다 짧은 것을 말하며 식물체 세력이 약할 때 발생(착과량 과다, 광합성량 부족, 야간고온 등)

* 단화주화는 착과 되지 않고 낙화되거나 가는 과실로 상품성이 떨어짐

❍생장점 세력약화 : 생장점과 개화된 꽃과의 거리가 15~20cm 정도가 정상 이지만 10cm 이하로 짧을 경우 세력 약함


■ 환경관리

❍저온기 온도관리 야간 : 일몰~20시(18℃), 20시~06시(16℃), 06시~일출(18℃)

❍주간 : 오전(28~30℃), 오후(24~25℃)

❍야간 저온다습 : 잿빛곰팡이병 발병우려

❍광관리 : 광포화점은 4만Lux로 비교적 낮지만 광에 대한 반응은 민감

(강우나 흐린 다음날 수량 저하)


■측지착과

❍주지 적심 후 모든 마디에서 발생되는 측지 1본 착과하고 꽃 위 1엽 남기고 적심

❍측지발생량이 많을 때는 건실한 측지 1본 남기고 제거

❍광관리 : 광포화점은 4만Lux로 비교적 낮지만 광에 대한 반응은 민감

(강우나 흐린 다음날 수량 저하)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청고병

-주로 3월부터 온도 상승기 발병

-발병시 방제약제가 없으므로 반드시 토양소독 후 정식

-토양소독 후에도 계속 발병포장에는 다른 과 작물 윤작 필요

❍잿빛곰팡이병

저온다습 조건에서 주로 어린 과일에 많이 발병

방제가 어려우므로 환경적으로 예방하며 발병초기 이병부위는 제거 비닐봉지에 담아 온실 밖으로 방출

❍잎곰팡이병

-3월 이후 온도 상승기에 발생하며 초세가 약할 때 주로 발생

-대책은 잿빛곰팡이병과 같음

 ❍흰가루병

-발생초기 방제가 잘되며 이병이 많이 되었을 때는 방제가 어려우므로 예방적 방제 필요

❍온실가루이(담배가루이),응애,총채벌레, 진딧물

-수시 예찰에 의한 적용약제 교호 살포

❍차먼지응애

-육안으로 충이 관찰이 되지 않으며 발생초기 생장점이 위축되며 어린잎이 상처를 받음

-수시 예찰에 의한 적용약제 교호 살포

❍일소과

-3월 이후 온도 상승기, 비온 다음날 많이 발생

-토양 수분부족, 오전 환기시 급격한 온도 변화에 발생률이 상승하므로 주의

❍마그네슘결핍

-저온기 일조부족, 과다 착과 등에 의한 뿌리 발육 저하시 발생

❍착과제 장해

-착과제 분무시 저온기 생장점 주위에 분무됨으로서 발생

-잎이 위축되며 심한 경우 착과가 되지 않으므로 꽃에만 착과제 처리

❍곡과

-일조부족, 양분부족, 과다착과, 식물체 세력약화, 지베렐린 첨가에 의한 과일에서의 양분 불균형

❍돌가지

-저온기 광합성량 부족, 일조부족, 과번무, 단화주화 등에 의한 과일로의 광합성 양분의 전류 부족에 의해 발생

❍비광택과

-고온기 건조, 온실내 고온에 의한 수분 부족으로 발생


■요리법

❍생으로 요리

- 생으로 먹는 채소가 좋다고 한다. 그냥 간식처럼 생으로 먹는 것도 괜찮다.

❍가지나물

- 가장 많이 먹는 방법이고, 살짝 데쳐서 소금간만 해서 먹어도 좋다. 개인적으로 청양고추를 좀 썰어 넣어 무치면 더 맛있게 먹는다.

- 생가지를 계속 보관하기 어려우니 말려서 보관한다. 필자는 빨랫줄에 넣어 말려 보관해서 먹는다.

❍구워먹기

- 가지과 작물인 가지도 그렇지만 토마토도 구워서 먹는게 더 좋다고 한다. 특히 유럽요리에 많이 쓰이는 가지는 구워서 여러 요리에 사용된다.

❍가지밥

- 콩나물밥, 밤밥, 고구마밥 같이 가지를 먹기 좋게 썰어 밥 할 때 넣으면 쪄먹는 맛이며, 밥에 가지물이 들어 맛있다.




"본 저작물은 '농촌진흥청'에서 '2017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백첨지)'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농촌진흥청, www.nongsaro.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4부작사부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 the change you want to see in the world | Gandhi  (0) 2018.02.10
청년 스스로 학교  (0) 2018.02.04
작물 | 감자  (0) 2018.01.21
토양 | 토양 생성  (0) 2018.01.19
작물 | 비트  (0) 2018.01.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