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줄의 역사와 영화적 상상력이 만나 탄생된 이야기

세종의 위대한 업적 속 그 옆에 있던 한 인물, 장영실과의 이야기가 담긴 영화 '천문'을 봤습니다.

새해 첫 영화는 천문이라는 영화를 선택했습니다.

가벼운 영화를 보고 싶었지만 한석규씨와 최민식씨 얼굴만 보고 바로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세종대왕 역을 맡은 한석규 배우, 우리에겐 '뿌리깊은 나무'라는 드라마에서 더 익숙한 세종입니다.

영화관에서도 주위에서 뿌리깊은나무 얘기를 하는 것보면 제법 인기가 많았던 드라마였던 것 같습니다.(저는 안봤지만..)

세종대왕의 옆에 있는 친구(?), 장영실 역할은 최민식씨가 했습니다. 

실제 노비 출신인 장영실은 사실 아버지는 중국에서 왔지만 어머니가 출신이 노비인지라 노비출신으로 했다고 합니다.

영화에서는 세종의 신뢰를 얻은 이천 장군이 스승이자 후견인으로 세종과 인연을 닿게하는 인물입니다.

어느 날 명나라에서 가져온 책자를 눈비 맞아 쩔쩔매는 것을 장영실의 도움으로 코끼리에 달린 물시계를 보고 

영실에게 만들 수 있냐고 물어봅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장영실은 실제 세종이 명나라로 유학을 보냈다고 합니다.)

우리 나라에는 코끼리가 없는 나라이기에 구해오면 만들 수 있냐고 묻자 가장 명대사가 나옵니다.

"코끼리 그림은 허상입니다. 우리 것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 맞게 물시계 원리 형태를 만들어 세종의 신임을 얻고 관직을 하사하고 본격적으로 과학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세종과 장영실은 신분 격차를 뛰어넘고 많은 시간을 보내며 세종이 꿈꾸는 세상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그 중 큰 업적이 별을 보는 것을 좋아하는 세종이 별을 보고 백성을 위한 장치들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세상은 아군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늘 시기와 질투를 하는 사람은 존재합니다.

그리고 세상을 군림하려는 자들은 꼭 있습니다.

인물 관계도를 보시면 다음과 같습니다.

영의정과 정남손은 명나라를 뛰어넘는 기술은 나라에 해를 입히게 될 것이라며 명에게 우리나라 기술 발전을 고하고 임금이 명에 조아리며 기술 모두 폐기하게 됩니다.

 

백성을 위함이 아니라 명을 위해, 그리고 자신의 권력을 놓치지 않게 하기 위해 이러한 일들을 멀리는 대신들

사실 영화 속이 아닌, 조선시대가 아닌 현재의 모습 같았습니다.

미국 사랑하는 대한민국... 할말하않...

 

천문기술도 다 내주고, 장영실까지 잡아가려고 하는 명나라의 상황 속에

장영실의 기술로 만든 임금이 타는 가마, 안여가 세종이 타고 가는데 부서지는 사건이 벌어집니다.

사실 안여사건은 역사상에도 적혀있고 이때문에 장영실의 기록은 이후로 없습니다.

 

여기서부터 영화적 상상력이 펼쳐지게 됩니다.

안여 사건이 일어나면서 세종을 죽이려는 역모사건으로 되면서 빠른 전개가 됩니다.

영실은 별보는 것이 좋은 이유는 별 앞에서는 양반도, 천민도 없으면서 모든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주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세종은 모든 백성은 똑같은 백성이라 말하며, 명나라의 의존이 아닌 자립을 위한 국가와 모든 백성이 똑같이 누릴 수 있게 만들려는 노력들이 보입니다.

 

그래서 천문학의 발전 이후 한글의 발전, 인쇄술의 발전 등을 비추어지려 했지만 세종과 사대부와의 다툼에 영실이 껴있는 마지막 사건들이 영화 속에 녹여집니다.

 

그 부분은 영화의 결론 부분이기에 적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세종대왕 이도와 대호군 영도의 신분을 넘어선 우정 그리고 백성을 위한 사랑이 돋보이는 영화입니다.

최민식, 한석규 배우의 연기력은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 외에도 문무대신들의 신구선생님, 김홍파선생님 그리고 늘 진짜 빠져서 연기하는 듯한 김태우

대호군의 옆에 있는 오광록, 김원해, 임원희, 윤제문

후반부에 나오는 카리스마 허준호 배우까지

배우진들만 보러 가고 싶은 캐스팅입니다.

 

2020년 첫 영화지만 최고의 영화로 당연히 천만이 넘을줄 알았지만 아직 180만이라 아쉬운 이 영화,

꼭! 끝나기 전에 영화관에서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0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크홀 | 한국 | 2021  (0) 2021.08.16
귀여운 남자 | 한국 | 2021  (0) 2021.08.12
데몰리션 | 미국 | 2016  (0) 2019.12.29
오늘도 위위 | 한국 | 2019  (0) 2019.12.13
극한 직업 | 한국 | 2018  (0) 2019.02.02

+ Recent posts